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독서 어플리케이션
- 조국
- 나가에 아키라
- 赤木智弘
- 사토 마사히사
- 일본회의
- 마루야마 마사오
- 다이아몬드프린세스
- 조국 일본 반응
- 永江朗
- 조국 사임
- ヘイトスピーチ
- 독서앱
- 菅野完
- 사토 마사루
- 아카기 도모히로
- COVID19
- 賊反荷杖
- 盗っ人猛々しい
- 盗人猛々しい
- 혐오서적
- 한일 무역 갈등
- 佐藤正久
- 나는 서점을 좋아했습니다
- 私は本屋が好きでした
- 일본 속보
- 스가노 다모쓰
- ヘイト本
- 本屋
- 조국 사퇴
- Today
- Total
목록아카기 도모히로 (2)
深夜特急
働いても働いても豊かになれない。 (아무리 일해도 풍요로워질 수 없다) 대학원 1학년 때 교수님께서 일본어 강세와 억양 연습용으로 나눠주셨던 스크립트의 첫 문장이다. 2007년에 받았으니까 거의 10년이 다 돼 가는데 문장의 표면적인 의미야 뻔하지만 그 심각함이 당시만 해도 한국인인 나에게 그렇게 와 닿지는 않았다. 한국은 그 불과 몇 년 전 '부자되세요'가 유행어로 선정될 정도였고 2007년이면 서브프라임사태가 터지기도 전이니까. 물론 그때나 지금이나 아무리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나기 힘든 사람은 일본에도 한국에도 많다. 다만 요즘 한국의 경제, 산업, 고용(특히 청년 일자리) 관련 뉴스를 보며 드는 위기감은 10년 전의 그것과는 질적인 면에서 분명 다르다. 그런데 지금과는 달랐던 그때 나는 글의 출처가 별..
夢の(また)夢 : 꿈도 못 꾸다 Ex>結婚や貯金など夢のまた夢でしかない我々フリーターの尊厳は、いったいどこに消えてしまったのか:결혼이나 저축 따위 언감생심 꿈도 못 꾸는 우리들 프리터의 존엄은 대체 어디로 사라져버린 것일까 예문은 한 십 년 쯤 전에 아사히 신문이 발간하는 잡지에 실려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던 라는 글의 한 문장을 조금 손본 것. 이 글을 쓴 아카기 도모히로는 유명한 논객이 됐다. 그의 주장에 동의하고 말고를 떠나 글 자체는 읽어볼만 하다. 청년 빈곤 문제를 우리보다 한 발 앞서 경험한 일본 3040세대의 지난날의 절규를 읽으며 요즘 우리의 모습이 거의 완벽하게 겹쳐진다. 원문 URL : http://t-job.vis.ne.jp/base/maruyama.html